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역사문화자료실

HOME > 자료실 > 역사문화자료실

홍익재단, 고대국가 형성 초기에 이루어진 치수사업과 그 내용-고조선단군

본부 2014-06-15 15:04:32 조회수 1,887

고조선단군학 제30집 2014. 06. 1-33쪽 (한국연구재단 등재저널) 

고대국가 형성 초기에 이루어진 치수사업과 그 내용 

문치웅, 김은진 

본 연구에서는 『書經』「禹貢」과 『史記』「夏本紀」의 주요 내용인 동아시아 고대국가 형성 초기에 진행된 치수(治水)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치수에 대한 개념과 그 내용을 명확히 정립하였다. 

치수는 천하의 홍수 피해 복구와 예방을 위한 수리(水理)사업을 기본으로 하여 사람들의 정착생활을 위한 환경 조성, 교통 체계의 정비, 천하 행정구역 개편, 토지등급제도 및 조세제도 마련, 지방 관리를 위한 오복(五服)제도 제정의 내용을 포함하는 천하경영의 기반을 마련한 국책사업이다. 

치수사업을 통해 천하의 행정구역을 9주로 하고, 각 주의 환경과 여건에 맞게 농사, 양잠 또는 목축 등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산업 및 특산물을 재배할 수 있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또한 구주 영역에 대해 토질을 기준으로 토지를 9등급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토지등급제도(land grading)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지역별 생산된 수확량을 전체 9주의 총수확량 대비 차지하는 규모 및 인구 밀도와 비교하여 9등급으로 구분하여 거두어들이는 조세제도인 공부(貢賦)제도를 만들었다. 

지방의 통치를 위해 중심지를 기준으로 사방 500리씩 구간 구분하여 효율적인 통치와 관리를 위한 오복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치수사업은 물관리라는 일차원적인 문자적 해석의 개념을 넘어 사람들의 정착생활을 위한 환경조성과 원활한 통치를 위한 행정구역 개편, 도로 및 하천과 강을 이용한 교통 체계의 정비가 기본 내용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에 맞는 산업 및 특산물 재배 구조의 확정과 세금부과 체계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를 통해 중앙의 政事가 지방 곳곳에까지 미칠 수 있는 통치 및 관리 체계의 기본적인 형태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치수의 개념과 내용은 대규모의 국책사업의 측면에서 재정립되어야 한다. 
치수는 고대국가 형성 초기의 동아시아의 사회 및 시대적 상황, 제도, 문화 등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이 사업의 결과물과 주요 제도는 이후 계속적으로 여러 왕조의 제도에 응용되어 발전을 이루게 된다. 

핵심어: 치수(治水), 구주(九州), 토지등급제(土地等級制), 공부(貢賦)제도, 오복제도(五服制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