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고대 동아시아 이해와 정립 e-Confererence

HOME > 홍익아카데미 > 고대 동아시아 이해와 정립 e-Confererence


식민주의 역사학자들에 의한 환인·환웅 부정론에 대한 비판과 실체

admin 2022-09-29 13:48:31 조회수 1,187


식민주의 역사학자들에 의한 환인·환웅 부정론에 대한 비판과 실체 


전진국(충북대)


일제강점기 단군신화를 연구한 일본인들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부정하는데, 특히 환인과 환웅에 대해서는 본래의 단군신화에 덧붙여진 가작으로 취급하였다. 환인·환웅에 관한 내용이 불교와 도교의 관념에 의해 가작되었다는 가설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글에서는 그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白鳥庫吉은 단군신화의 환인은 불교 경전의 석제환인을 줄인 용어이고, 특히 불설입세아비담론에서 석제환인의 아들 전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가 차용되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잡아함경, 대지도론에 등장하는 석제환인에 관한 부분을 인용하여 근거로 하였다. 그러나 그 불교 경전의 내용구조는 단군신화의 ‘환인-환웅-단군’으로 구성된 것과 많은 차이가 있다. 불설입세아비담론은 559년에 한역되었는데, 단군신화는 그 이전인 장수왕 때 만들어졌다고 하여 그 주장이 모순적이다. 小田省吾·高橋亨은 서산대사 휴정의 청허집에 인용된 妙香山法王臺金仙臺二菴記에서 묘향산의 산신으로 등장하는 ‘석제환인’을 강조하여 단군과의 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그러나 실제 그 문헌을 살펴보면, 석제환인은 묘향산의 여러 산신 중 하나로 등장하여, 그것만을 강조하여 단군과의 관계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今西龍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신앙에 의해 단군신화에 제석 즉 석제환인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석신앙은 단지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것이 아니라 7세기 신라와 백제에서도 확인된다. 그리고 신라·고려시대의 제석신앙은 토착화되어, ‘제석’은 불교의 석제환인보다도 일반적인 ‘하늘님’, ‘상제’의 의미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군신화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것 외에도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묘향산지 등 여러 문헌에 실린 다른 내용의 단군신화가 있다. 연구의 시작은 그 다양한 단군신화에 대한 조사 및 각각의 고유성에 대한 분석이 우선인데, 그보다는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만 치중하여 그 외의 것은 후대의 조작으로 취급하였다. 여러 단군신화의 차이는 환웅시대의 이야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는 단군신화에서 환웅이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환웅과 관련된 내용의 고유성 및 역사성을 인정하는 시각에서 접근할 때, 환웅은 고조선의 역사 안에서 원시 제정일치 사회의 수장을 직접적으로 대상화 한 존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군뿐만 아니라 환웅 역시 역사적 존재로 설정해 볼 수 있다.
이전글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단군·기자 연구와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