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aeolinguistic evidence for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of Koreanic(한국어의 농업/언어 확산 가설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
Mark J. Hudson and Martine Robbeets
(Published online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October 2020)
-트랜스유라시아어 가설을 지지하는 마크 헌드슨과 마틴 로비츠의 공동 연구-
초기 연구에서는 알타이어를 농사/언어 분산 가설의 예외로 간주했지만, 최근 중국 북동부 지역의 기장 재배에 대한 연구는 요서 분지가 트란스유라시아어족의 신석기 시대 고향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기장 농업 분산과 원시-매크로-한국어를 연관짓는데 사용된 고고학적 증거를 조사하여, 고고학적 기록에서 인구 이동의 식별, 언어 분산에서 소규모 재배의 역할, 그리고 신석기 중기-후기 인구통계학을 분석한다. 우리는 고고학적 증거가 신석기 중기의 기장 재배와 관련하여 한반도에 원시-매크로-한국어가 도착하고 퍼진 것과 일치한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원시-매크로-한국어의 분산은 기원전 3000년 이후에 나타난 개체군 충돌 이전에 일어났으며, 이는 신석기 후기의 감소가 북유라시아의 많은 지역에 영향을 미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의 동시적 인구감소의 한 원인으로 페스트(페스트균)를 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