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Contact us
Sitemap
Login
Join
Catalogue
주메뉴
재단소개
인사말
설립취지
조직도
연혁
오시는길
주요사업
역사문화사업
문화기술사업
융합기술사업
홍익아카데미
고조선 이해와 정립
e-Conferrence
특별강연
토론회
역사한자
e-Conferrence
특별강연
토론회
유전체분석과 역사해석
e-Conferrence
특별강연
토론회
한일역사문제
e-Conferrence
특별강연
토론회
연구소
역사문화연구소
문화기술연구소
융합기술연구소
자료실
역사문화자료실
문헌출간자료실
논문출간자료실
한일역사문제자료실
활동&행사
재단활동
컨퍼런스
고조선이해와 정립
역사한자
유전체 분석과 역사해석
한일역사문제
e-Conference
고조선이해와 정립
역사한자
유전체 분석과 역사해석
한일역사문제
특별강연
고조선이해와 정립
역사한자
유전체 분석과 역사해석
한일역사문제
토론회
고조선이해와 정립
역사한자
유전체 분석과 역사해석
한일역사문제
역사탐방프로그램
학술활동 및 지원사업
새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기부금안내
역사웹툰
고조선
역사한자
유전체 분석과 역사해석
한일역사문제
HOME
재단소개
주요사업
홍익아카데미
연구소
자료실
활동&행사
새소식
회원전용
역사문화자료실
문헌출간자료실
논문출간자료실
식민사학자료실
논문출간자료실
>
자료실
>
논문출간자료실
페이지정보 : 1 / 4
검색옵션
전체
제목
내용
작성자
search_word
검색하기
제목오름차순
최신순
PDF 미리보기
三經에 나타난 '古'의 時期 解釋
발행일
|
발행일 | 20. 11. 발행처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지은이
이경숙, 문치웅
논문소개
‘古’는 문헌에 따라 특정할 수 있는 시기가 다를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古’가 막연한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古’로 한정된 특정 시기를 나타냄을 三經인《書經》과《詩經》,《周易》의...
PDF 미리보기
'古'의 時代區分 考察
발행일
|
2020.09 발행처: 한국중국문화학회
지은이
이경숙, 문치웅
논문소개
일반적으로 문헌에서 이른바 ‘古’에 대한 시대해석은 天皇, 地皇, 人皇으로 대표되는 三皇时代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堯舜시대, 文王시대, 孔子가 살았던 시대까지, 그 범위가 확장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확실히 ‘古’가 가리...
PDF 미리보기
전래 문헌과 출토문헌을 통해 살펴본 ‘神’의 자형과 의미 변천
발행일
|
20. 08. 발행처 | 중국문화연구학회
지은이
김정남, 문치웅
논문소개
허신(許愼)은 『說文解字』에서 “神, 天神, 引出萬物者也.”로 정의했다. 허신의 정의로 인해 이후 ‘神’의 대표 의미는 절대자로서의 “天神”, “至高無上의 존재”, 초자연적 존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현재 출...
PDF 미리보기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한・일 관계 기술의 분석
발행일
|
20.05. 발행처 | 한일관계사학회
지은이
서보경
논문소개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도래한 인간들’이 「渡來人」 혹은 「歸化人」이라는 용어로 표기되어 있다. 「귀화인」이 고대 일본사 연구의 장에서 먼저 통용된 학술용어이고, 「귀화인」의 대체 ...
PDF 미리보기
명성사(明成社) 일본역사교과서의 내력과 내용 분석
발행일
|
20.05. 발행처 | 한일관계사학회
지은이
송완범
논문소개
본고에서 다루려는 대상은 2002년에 일본문부과학성의 검정을 마치고 2012년에 명성사라는 출판사에서 인쇄, 발행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인 『최신일본사(最新日本史)』이다. 이 명성사 역사교과서에 주목하는 이유는...
PDF 미리보기
일본 역사 교과서의 독도기술과 영토교육
발행일
|
20.05. 발행처 | 한일관계사학회
지은이
나행주
논문소개
현재 일본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회과(역사) 교과서 가운데 초등학교 3종, 중학교 8종, 고등학교 3종을 대상으로 일본의 영토교육 특히 독도(일본명 다케시마[죽도])에 대한 서술 내용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도 ...
이전페이지
1
2
3
4
다음페이지